-
제 14편 Connector -1-
제 14편 Connector -1- 이번 시간에는 Connector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Connector(커넥터)란 무엇인가요?? – Connector란 요소들 간에 연결을 위한 Geometry 요소인데요, 한번에 다량의 연결요소 생성이 가능합니다. (종류: rigid, weld, springs, welds, CWELDS, MAT100, etc…) 이러한 Connector로 만든 1D element들은 생성 및 수정이 용이하며, Connector는 XML 파일로 Export/Import 시킬수 있어서 다른 모델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2.…
-
제 13편 1D Element – CBAR & CBEAM
제 13편 1D Element – CBAR & CBEAM 이번 편에서는 CBAR, CBEAM 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CBAR는 뭐고 CBEAM은 뭐죠?? CBeam과 CBar 는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보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래를 보시면 실제 I_Beam(좌) 과 생성한 CBEAM Element(우) 입니다. 이런 부재를 CBAR/CBEAM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부분 체크! CBEAM, CBAR 는 3방향으로의 인장과 압축, 비틀림을 지원합니다. 그러므로 CROD와 달리 굽힘까지 고려하는 부재에 사용해야합니다. 2) CBar와 CBeam은 뭐가…
-
제 12편 1D Element – CROD
제 12편 1D Element – CROD 1D Element로 Modeling을 할 때 여러분들이 꼭 선택해야 될 친구들이 있습니다! 바로 CROD, CBAR, CBEAM 입니다. 1) CROD가 뭐죠?? 위의 그림은 ROD Element를 modeling한 그림입니다. 딱 한눈에 보이죠ㅎㅎ? 중요한 부분 체크! CROD는 축방향으로의 인장과 압축, 그리고 비틀림만을 지원합니다. 그러므로 축방향 인장과 압축 그리고 비틀림을 받는 부재에 사용해야 겠죠? 2) CROD는 어떻게 만들죠?? HyperWorks를 켜면 Session과 Profile을 설정하는 창이 뜨는데요,…
-
제 11편 Meshing 소개 -3-
제 11편 Meshing 소개 -3- 유한요소 해석을 잘하기 위해 여러가지 Element들의 특징들을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각 Element에서 기억해야 할 특징 몇가지만 알아볼까요?! 먼저 1D Element 입니다. 1D Element의 특징은 단면정보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H Beam같은 경우도 1D Element로 표현할 수 있는데, 1차원 Element에 H Beam의 단면정보가 들어가야 되겠죠? Element의 Type에 따른 특징을 보자면, 축방향의 인장과 압축을 계산하는 Rod Element! 인장, 압축 뿐만아니라 굽힘까지 계산하는 Beam…
-
제 10편 Meshing 소개 -2-
제 10편 Meshing 소개 -2- 이제 Meshing을 해볼까요? 1. 지오메트리를 체크! 일반적으로 cad 데이터는를 받고 CAD 형상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되겠죠? Free edge 체크 CAD가 깨지진 않았는지? 매우 작은 필렛, 매우 작은 구멍들이 있는지 – meshing 주의 지역!! 모델이 대칭인지? 1/2모델 혹은 1/4모델로 축소하여 meshing가능한지 확인! 2. 지오메트리 수정! 일반적으로 CAD모델에 바로 meshing 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meshing하기 좋게 geometry를 자르고 수정! 그래야 meshing도 쉽고 mesh…
-
제 9편 Meshing 소개 -1-
제 9편 Meshing 소개 -1- 이번에는 Meshing에 대해 소개를 하려고 합니다! Node와 Element의 그물망 형태를 Mesh라고 하고, Mesh를 만드는 것을 Meshing이라고 합니다. 사람에 따라 Modeling 한다고 하기도 합니다. :-) Mesh의 Element에는 여러가지의 타입이 있어요. 1D, 2D, 3D Element 들이 아주 많이 있답니다!(솔버마다 이름이 달라요 @.@) 해석자는 알맞은 Element의 타입을 선택해서 Meshing해야합니다. 왜냐하면 타입에 따라 해석 계산 시간,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죠! 저는 어떤 Element…
-
제 8편 Geometry에서 Topology란?
제 8편 Geometry에서 Topology란? 지난 시간에 Geometry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는데요, Geometry를 불러오고 난 다음에는 확인해 주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Topology입니다. Topology란, Geometry의 ‘Surface가 어떠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가’를 나타내주는 것 입니다! 그렇다면 HyperMesh에서는 Topology는 어떻게 확인 할까요? Face Color 옵션의 Topology를 사용하여 간단히 확인 할 수 있습니다. Topology 옵션을 키면 아래 그림같이 보입니다. surface를 둘러싼 edge들의 경계선의 색상이…
-
제 7편 Geometry 살피기
제 7편 Geometry 살피기 지난 시간에 FEA프로세스에 대해 배웠다면, 이제 부터 HyperMesh를 이용해서 전처리 해보아야 겠죠? 하지만, 아무것도 없는데 생성할 순 없겠죠? 해석을 하고자하는 모델의 CAD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HyperMesh는 CAD데이터를 기반으로 Mesh(Node와 Element)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런 CAD 모델을 Geometry라고 합니다. 그럼 Geometry의 정의는 무엇일까요? 혹시 초등학교때 도형에 대해 배웠던 꼭지점, 모서리, 면 기억나시나요? HyperMesh에서는 꼭지점은 Fixed point, 모서리는 Surface…
-
제 6편 FEA를 위해 필요한 것은?
제 6편 FEA를 위해 필요한 것은? 이번 편은 FEA(Finite element analysis) 를 위해서 필요한 것들 즉, FEA가 수행되기위해 어떤 단계를 거쳐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FEA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크게 3단계로 나눠지게 됩니다. 그림을 보시면 불러온 CAD 모델에 HyperMesh로 Mesh를 생성하면서 시작하죠? 조금 더 풀어서 보면, 1. Meshing – 해석하고자 하는 모델에 요소를 생성하는 작업 * Material,Property – 컴퓨터는 형상만 가지고는 모르기 때문에 이게 무슨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특성이 뭔지 하나씩…
-
제 5편 FEA(Finite Element Analysis) 소개
제 5편 FEA(Finite Element Analysis) 소개 이번 편은 FEA 초보자분들이 읽고 ‘뭔가 알 것 같은 느낌?!’ 을 만들어 드리는 데 주력해보고자 합니다! FEA(Finite element analysis)는 공학분석에 사용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전체 과정을 말하며, FEM라고 불리는 수치적 기법을 사용하여 답을 찾아나갑니다! (1) 공학적인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 해당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습니다. 1.Analytical Method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을 이용해서 문제를 푸는 고전적인 방법입니다. 2.Numerical Method 컴퓨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