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뮬레이션 관련 기술 자료 및 토론을 위한 공간입니다.
이번 Post 에서는 Free Node와 Preserve Node를 삭제하여 중복된 Node ID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yperMesh에서 FE 모델링을 하는 과정에서 Free Node와 Preserve Node의 ID가 FE 모델의 Node ID와 겹쳐져 해석할 때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Model 브라우저에서 Node 항목을 우클릭 > Delete Free Node와 Delete Preserved Node를 눌러 삭제 할 수 있습니다. 해당 Node들을 삭제한 후, Assembly 메뉴탭의 Renumber 기능을 사용하여…
이번 Post에서는 Simlab 에서 중력가속도 GRAV 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Simlab에서 GRAV 카드를 정의할 때는 Text Data를 직접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 Solution Browser에서 Solution 항목을 우클릭 하고 > Text Data 를 누르면 Bulk Data를 입력할 수 있는 Section창이 활성화 됩니다. 해당 Bulk Data 항목을 아래 Format에 맞춰 입력하면, Format. ex. GRAV 1 0 9810.0 0 0 1 Solver Input File로 Export를 했을 때 아래와 같이 GRAV 카드가 추가…
이번 포스트에서는 HyperView에서 Node Path 기능을 사용해서 Contour Value를 확인하고 그래프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HyperView에서 모델을 불러오게 되면 좌측에 Results 브라우저가 활성화 됩니다. (Result 브라우저가 안보이는 경우에는 상단 View 메뉴에서 Results Browsers를 체크하시면 됩니다!) 해당 브라우저 창에서 Measures를 우클릭, Create > Measure를 클릭하면 새로운 Measure Group이 생성되면서 아래쪽에 Measure Group Editor가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Rigid 요소로 생성한 영역 주변에서 응력에 튀는 경우에는 보통 Rigid 요소와 연결된 1~2 layer를 제외하고 구조 해석 결과를 확인하기도 합니다. SimLab 후처리에서 해당 작업을 직접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해석을 수행하기 전 제외하고자 하는 영역을 set으로 미리 생성해두어야 합니다. 만약 이미 생성된 해석 결과에서 해당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면 HyperView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동영상은 이 과정에 대한 내용으로, SimLab 2025.1과 OptiStruct 2025.1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압입해석 Press-Fit 해석은 일반적으로 샤프트를 하우징에 밀어넣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 및 변형률을 확인하는 Pushing 해석과 샤프트와 하우징간 간섭으로 발생한 잔류 응력을 해석하는 Interference-Fit 해석으로 구분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샤프트와 하우징간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Interference 해석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Interference 해석은 일반적으로 하우징과 샤프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구조물간 간섭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을 계산할 때 수행하게 되며, 아래 그림과 같이 모델이 겹쳐진 상태로 모델을 구성합니다. 하우징과 샤프트가 이미…
https://us.v-cdn.net/6038102/uploads/UHNF444CGHG9/os-v-1100-transmission-loss-in-a-muffler.pdf https://us.v-cdn.net/6038102/uploads/WN6J4M1JFP9V/transmission-loss.fem OptiStruct 구조 해석 솔버를 사용하면 Transmission loss 해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해당 예제를 SimLab 인터페이스에서 모델링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의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동영상은 2025.1 버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모델링이 완료된…
HyperGraph에서 Curve의 각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로 옮기기 위해서는 아래 그림과 내용을 참고해 주시면 됩니다. Define > Values > 원하는 데이터에 대해 셀 선택 후 우클릭 > Copy
Data set을 만들고 Training을 위해 GPU리소스를 사용하려면 기본적인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2025.1 버전 기준으로 확인 및 조치를 취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Compute Capability 6.0 이상의 NVIDIA GPU 사용 NVIDIA CUDA Toolkit 11.8 설치 NVIDIA cuDNN 8.7 설치 관련한 상세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HyperGraph에서는 다수의 Curve를 생성하고 이들을 기반으로 각 지점별 최대값으로 Curve를 생성할 수가 있습니다. Plot Browser에서 원하는 다수의 Curve를 다중 선택 우클릭> Multiple Curves Math > Max Envelope 선택
SimLab에서 Surface mesh를 생성하면 설정 옵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정삼각형 형태의 tria 요소가 생성됩니다. 다음의 방법을 Mesh control을 미리 설정하시면 직각 삼각형 형태의 R-tria 요소를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상단 Mesh » Mesh controls 클릭 Mesh pattern 클릭 후, Aligned mesh 선택 적용하고자 하는 face 모두 선택 후 적용
There's a wealth of content waiting for you to explore! Need support or have a question? Login or join our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