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테어 온라인 교육 플랫폼, ALTAIR LEARNING
알테어 온라인 교육 플랫폼 ALTAIR LEARNING 업무에 필요한 역량을 키우고 싶으신가요? Altair Learning에서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학습 진행사항을확인하고 학습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배우실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를 처음 접하는 초심자부터 전문가까지 다양한 수준의 교육 클래스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무제한으로 24시간 이용 가능한 온라인 전용 교육 과정 한국어 포함 전세계 교육용 동영상 및 실습파일 제공 핵심 학습 단계와 학습 자료를 체계적으로 안내하는 학습 계획 제공 자격증 발행 및 지식 기반 컨텐츠 및 튜토리얼 제공 Altair Community를 통해…
-
제 23편 Boundary Condition
오늘은 Boundary Condition(경계조건)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계조건이 무엇인지 2가지 경우를 통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1. Simply supported(단순 지지) 2. Fix-Fix(양단고정 지지) 이 두가지 경우를 단순화 시켜보면 아래의 두가지 경우로 나뉩니다. Simply 과 Fix-Fix의 경계조건의 차이점은 단지 하나의 자유도(6) 입니다. 단순지지의 경우 양 끝단에 1,2,3,4,5 를 구속. 양단고정 지지는 양 끝단에 1,2,3,4,5,6을 모두 구속. [참고] 1: X축 병진방향 자유도 2: Y축 병진방향 자유도 3: Z축 병진방향…
-
제 22편 Linear Elastic Material Information
오늘은 HyperMesh 에서 궁금했던 Material을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같은 Force(혹은 같은 Stress)에도 Material 이 다르면, 다른 변형률을 얻습니다. 많은 Material들의 간단한 인장시험 결과를 보면 작은 변위에서는 Stress와 Strain 사이에 선형적인 관계가 존재합니다. 당긴 만큼 비례해서 늘어난다는 것이죠. 아래의 σ=Eε가 바로 Hooke’s Law 입니다. (등방성 재료의 경우, 아래 내용 참고) 이 방정식은 Linear Elastic 거동에서 적용이 됩니다. [ E of Material in HyperMesh ]…
-
제 21편 Element Quality
1. Element Quality (요소의 품질) 요소를 생성 하고 난 다음 꼭 해주어야 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바로 품질을 체크하는 것인데요! 요소의 품질은 Solution에서 해의 정확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래를 보시면 요소의 일반적인 기준을 나타낸 그림입니다. Best가 가장 이상 적인 요소입니다. 2D라면 정삼각형, 정사각형, 3D 요소라면, 정사면체, 정육면체가 되겠죠? 우측으로 갈수록 요소의 품질이 낮아지는데요, 복잡한 모델일 수록 Best 요소로 생성하기는 어렵겠죠. 품질은 사용자가 원하는 해석에 맞게 기준을 정해서 판단하시면 됩니다! 1.1 품질 기준 –…
-
제 20편 3D Meshing (Hexa) -2-
이번 시간에는 Hexa Meshing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Manual Hexa Meshing] 복잡한 Part에 Hexa Meshing을 생성하는 방법은, Surface에 Shell 요소들을 생성 한 뒤, 3D Meshing 기능을 이용해서 Hexa 요소로 바꿔주는 것입니다.
Extrude, Revolve, Sweep, Linear Solid 같은 기능을 이용해서 말이죠. Hex Meshing을 완료한 후에는(Free face check) 노드가 공유 되어있는지 확인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Extrude/Revolve *Topology >…
-
제 19편 3D Meshing (Tetra) -1-
이번 시간에는 부피를 가진 3D 요소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요소의 타입 Solid (사용자가 두께 등의 추가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2. 요소의 형태 Tetra, Penta, Hexa, Pyramid ( 윗줄은 1차 요소, 아랫줄은 2차 요소입니다.) 3. 주로 쓰이는 곳? Gear Box, Engine Block, Crank Shaft 등에 사용됩니다. 4. Solid 요소의 자유도는 병진방향만 존재합니다. 1D요소 와 2D 요소는 6개의 자유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유도를 쉽게 표현해보면, 긴 자를 압축하거나, 얇은 종이에 압축력을 가해주면…
-
(HyperWorks) 제 6편 - Topology 확인하기
제 6편 - Topology 확인하기 이전 연재 글에서 이어서 3D topology 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Surface 와 함께 Solid 에 대해서도 Topology 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2D topology 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생각하며 살펴보시면 각 상태별 의미도 유추해보실 수 있습니다. 2D topology 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한번 더 보실 수 있습니다. (HyperWorks) 제 5편 - Geomerty의 Topology 확인하기 Solid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3D topology 는 3가지 상태로 나눠집니다. By Topo 혹은…
-
(HyperWorks) 제 5.1편 - Section Cut 기능 활용하기
제 5.1편 - Section Cut 기능 활용하기 지난 쉬어가기 시간에 Visualization 옵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그 중 Section Cut의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ection Cut의 위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림 1. Section Cut 기능 위치] SectionCut을 생성하게 되면 Edit 창이 활성화되며, Section Cut의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실수로 Edit 창을 닫아버렸다면, 수정을 원하는 Section Cut에 커서를 올리고 우클릭하여 ‘Edit’를 클릭하여 재 활성화가 가능합니다. [그림…
-
(HyperWorks) 제 5편 - Geometry의 Topology확인하기
제 5편 - Geometry의 Topology확인하기 지금까지 모델을 불러오고 크기를 확인하는 작업을 해보았습니다. 이제 바로 Mesh를 생성해도 되는데요, 생성 전 내가 불러온 Geometry에 대해 확인 작업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왜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할까요? Mesh를 생성하는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Import한 Geometry를 참조하여 생성하게 됩니다. 기준이 되는 Geometry가 이쁘게 정렬 및 연결되어 있다면, 앞으로 생성할 Mesh도 그 Geometry를 따라 생성되면서 Node의 연결성도 유지됩니다. 또한 HyperWorks에서…
-
(HyperWorks) 제 4.1편 - Geometry Visualization 옵션
제 4.1편 Geometry Visualization 옵션 원활한 작업을 위해 모델의 Display 옵션을 변경하거나 View를 변경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HyperWorks의 옵션들을 통해 Visualization 옵션 변경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마우스를 이용하여 Pan, Rotate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조작과 설정은 이전 '(HyperWorks) 제 3.2편 - 마우스 세팅'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yperWorks는 작업 편의성을 위해 View, Display 변경을 위한 다양한 기능이 있으며, 위치는 아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