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5편 Connector -2-


제 15편 Connector -2-
1. HyperMesh에서 지원하는 타입
아래와 같이 4가지의 Connector 타입을 지원합니다.
1.1 Point: Weld, Rivet과 같이 개별 Point 접합을 다량으로 생성할 때 활용 할 수 있습니다.
1.2 Fastener: Bolt와 같이 기계적 Fastener를 1D 요소로 표현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Hole의 직경', 'Part 간의 거리'를 설정하여 등의 타입으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1.3 Line: 서로 다른 구조물이 선 용접, 접착 등으로 연결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4 Area: 넓은 영역을 용접, 접착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용접으로 표현된 Hexa 요소는 사용자 정의를 통해 요소 개수도 정의가 가능합니다.
2. Solver 마다 약간 다른 Connector 타입
User Profile을 선택함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Connector 타입이 다릅니다. 각 솔버에만 특화 된 타입도 있습니다.
연결요소가 1D 인지 Hexa인지 혹은 연결방법이 Rigid 연결인지 Contact 연결 인지 등등.. 이러한 차이점들에 따라 계산 방식이 달라지고, 당연히 결과도 달라지겠죠? Ls-Dyna의 MAT 100 타입, OpriStruct의 ACM 타입, Abaqus의 Fastener타입이 그 예입니다. 하나씩만 살펴볼까요?
2.1 LsDyna의 Mat 100 과 Mat 100 (hexa) 타입
2.2 OptiStruct의 acm (equivalenced-(T1+T2)/2) 타입
*연결할 Component 들에 두께가 지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2.3 Abaqus의 Fastener 타입
*그 외의 나머지 타입..
Ls-Dyna – dyna mat100, dyna mat100 (hexa), dyna mat196, etc.
OpriStruct – OptiStruct acm (equivalenced-(T1+T2)/2), OptiStruct acm(detached-(T1+T2)/2), OptiStruct acm (shell gap), OptiStruct acm (shell gap + coating), OptiStruct pie(rigid spider), OptiStruct acm (general), etc.
Abaqus – Abaqus fastener, etc.
지금까지 Connector 의 타입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부터는 2D Mesh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참조
이 자료는 “Practical Finite Element Analysis” 책의 내용과, HyperWorks Help Documentation 자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