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9편 Meshing 소개 -1-
제 9편 Meshing 소개 -1- 이번에는 Meshing에 대해 소개를 하려고 합니다! Node와 Element의 그물망 형태를 Mesh라고 하고, Mesh를 만드는 것을 Meshing이라고 합니다. 사람에 따라 Modeling 한다고 하기도 합니다. :-) Mesh의 Element에는 여러가지의 타입이 있어요. 1D, 2D, 3D Element 들이 아주 많이 있답니다!(솔버마다 이름이 달라요 @.@) 해석자는 알맞은 Element의 타입을 선택해서 Meshing해야합니다. 왜냐하면 타입에 따라 해석 계산 시간,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죠! 저는 어떤 Element…
-
제 8편 Geometry에서 Topology란?
제 8편 Geometry에서 Topology란? 지난 시간에 Geometry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는데요, Geometry를 불러오고 난 다음에는 확인해 주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Topology입니다. Topology란, Geometry의 ‘Surface가 어떠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가’를 나타내주는 것 입니다! 그렇다면 HyperMesh에서는 Topology는 어떻게 확인 할까요? Face Color 옵션의 Topology를 사용하여 간단히 확인 할 수 있습니다. Topology 옵션을 키면 아래 그림같이 보입니다. surface를 둘러싼 edge들의 경계선의 색상이…
-
제 7편 Geometry 살피기
제 7편 Geometry 살피기 지난 시간에 FEA프로세스에 대해 배웠다면, 이제 부터 HyperMesh를 이용해서 전처리 해보아야 겠죠? 하지만, 아무것도 없는데 생성할 순 없겠죠? 해석을 하고자하는 모델의 CAD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HyperMesh는 CAD데이터를 기반으로 Mesh(Node와 Element)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런 CAD 모델을 Geometry라고 합니다. 그럼 Geometry의 정의는 무엇일까요? 혹시 초등학교때 도형에 대해 배웠던 꼭지점, 모서리, 면 기억나시나요? HyperMesh에서는 꼭지점은 Fixed point, 모서리는 Surface…
-
제 6편 FEA를 위해 필요한 것은?
제 6편 FEA를 위해 필요한 것은? 이번 편은 FEA(Finite element analysis) 를 위해서 필요한 것들 즉, FEA가 수행되기위해 어떤 단계를 거쳐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FEA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크게 3단계로 나눠지게 됩니다. 그림을 보시면 불러온 CAD 모델에 HyperMesh로 Mesh를 생성하면서 시작하죠? 조금 더 풀어서 보면, 1. Meshing – 해석하고자 하는 모델에 요소를 생성하는 작업 * Material,Property – 컴퓨터는 형상만 가지고는 모르기 때문에 이게 무슨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특성이 뭔지 하나씩…
-
제 5편 FEA(Finite Element Analysis) 소개
제 5편 FEA(Finite Element Analysis) 소개 이번 편은 FEA 초보자분들이 읽고 ‘뭔가 알 것 같은 느낌?!’ 을 만들어 드리는 데 주력해보고자 합니다! FEA(Finite element analysis)는 공학분석에 사용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전체 과정을 말하며, FEM라고 불리는 수치적 기법을 사용하여 답을 찾아나갑니다! (1) 공학적인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 해당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습니다. 1.Analytical Method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을 이용해서 문제를 푸는 고전적인 방법입니다. 2.Numerical Method 컴퓨터를…
-
제 18편 - 2D Mesh를 생성하는 방법
HyperMesh에서 2D 요소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AutoMesh 로 2D 요소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AutoMesh는 HyperMesh내의 Meshing tool 입니다. Geometry Surfaces를 선택 후 Mesh 버튼 만 눌러주면, 쉽고 빠르게 고품질의 요소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요소의 사이즈, 밀도, 타입, 노드의 간격, 품질까지 구체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AutoMesh 패널] 1) Size and Bias – 지정한 요소의 크기로 일정하게 요소를 생성합니다. 2) Batchmesh/QI…
-
제 17편 - 2D Element -2-
이번에는 2D Meshing에 영향을 주는 나머지 조건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Critical 영역에서 Biasing 사용 Meshing을 하는 동안, Biasing이라는 옵션이 사용 될 수 있습니다. Biasing이란, Edge 위의 요소의 편향(치우침)을 조절하는 옵션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특정한 Geometry를 Meshing할 때 Bias를 높여서 품질을 좋게 할 수 있습니다. Bias를 0 으로 설정한 곳 보다는 Bias를 20 으로 설정한 곳의 가로와 세로의 비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Biasing을 적절히 이용하면 요소의 개수를 늘리지…
-
제 4편 Analysis Type (해석의 유형) -3-
제 4편 Analysis Type (해석의 유형) -3-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Fatigue, CFD, Crash Analysis와 Optimization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Linear static analysis (선형정적해석) (2) Nonlinear analysis (비선형해석) (3) Dynamic analysis (동적해석) (4) Thermal analysis (열해석) (5) Fatigue analysis (피로해석) (6) CFD analysis (유동해석) (7) Crash analysis (충돌해석) (8) Optimization…
-
제 3편 Analysis Type (해석의 유형) -2-
제 3편 Analysis Type (해석의 유형) -2-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Dynamic analysis, Thermal analysis 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Linear static analysis (선형정적해석) (2) Nonlinear analysis (비선형해석) (3) Dynamic analysis (동적해석) (4) Thermal analysis (열해석) (5) Fatigue analysis (피로해석) (6) CFD analysis (유동해석) (7) Crash analysis (충돌해석) (8) Optimization (최적화) (1)…
-
제 2편 Analysis Type (해석의 유형) -1-
제 2편 Analysis Type (해석의 유형) -1-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CAE의 Analysis Type(해석의 유형)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어려운 내용일 수도 있지만, 해석 유형을 아는 것은 어떤 해석을 해야할지 아는 것과 같기때문에 꼭 숙지하셔야 합니다. 그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CAE에는 여러가지 해석 유형들이 존재합니다. (1) Linear static analysis (선형정적해석) (2) Nonlinear analysis (비선형해석) (3) Dynamic analysis (동적해석) (4) Thermal analysis (열해석),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