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편 - Element가 압축/인장 상태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항공기 부품인 Torsion Link 사진을 찍어 보았는데요, 여기서 퀴즈~혹시 어떤 곳이 늘어나는 부분인지 구분이 되시나요? 압축되는 부위는요? 너무 쉽다구요?
이번에는 쉽지 않은데요, HyperView의 Tensor 패널을 이용하여 각 요소가 어떤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Tensor 패널 접근하기
Tensor 패널은 육면체에 좌표계가 붙은 모양으로 생겼어요!
2. Tensor 패널 간단 사용 방법
패널의 전체적인 생김새는 Contour 패널과 다르지 않습니다.
Tensor 패널에 접근하셨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패널의 사용법을 확인해 볼게요.
하나! Result type: 확인하려는 결과를 선택해 주세요. HyperView에서는 Tensor 라는 것을 구분하기 위해 (t)라는 표시를 하게 됩니다.
둘! Selection: Element, Component 둘 중에 골라주세요.
셋! Apply: 지금 클릭해 주세요!
+ ! 혹시 Contour 결과와 Tensor 결과를 동시에 보려면 Overlay result display 체크박스 선택!
3. Tensor 결과 확인하기
어떠세요, 항공기 날개 Skin이 늘어나고 압축되는 것이 보이시나요?
‘그림이 너무 작아서 잘 안보여요!’
그렇다면 요소 몇 개만 딱 골라서 큰 그림으로 살펴볼게요.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화살표가 요소 바깥으로 향한다면 이 요소는 인장상태, 그 반대라면 압축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4. Tensor 표기 옵션 살펴보기
HyperView에서 지원하고 있는 Tensor format 2개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왼쪽은! Tensor format: Principle (P1-Major, P2-Mid, P3-Minor)
오른쪽은! Tensor format: Component (XX, YY, ZZ, XY, YZ, ZX)
또한, Component format에서 Draw mode 차이점도 살펴볼게요.
왼쪽은! CrowsFoot Fraw mode (HyperView 14.0기능)
오른쪽은! CrowsFoot Fraw mode
지금까지 Tensor 패널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연재에서 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