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clusive raffle opportunity for active members like you! Complete your profile, answer questions and get your first accepted badge to enter the raffle.
안녕하세요.
이전 Q&A를 통해 모터 정적해석을 하는 중이며 응력 및 변형량 등의 결과값을 확인하는 중에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일반적으로 COG를 COM으로 생각하여 해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COG로 해도 됩니다.
말씀하신 해석을 하고자 하는 목적과 어떤 결과를 확인하고 싶은지 자세하게 말씀해주시면 확인해 보겠습니다.
저는 모터 블레이드에 대해서 rpm이 증가함에 따라 블레이드의 변형(displacement & stress)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 싶습니다.
현재는 축 부분을 constraint로 잡은 후 정적 해석으로만 진행을 하는데, 현재 컨디션으로 볼 때는 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블레이드에 Rotation force만 넣는 방식이라 생각이 됩니다
이는 실제 거동과 차이가 있다고 생각이 되는데, 정적 해석이 아닌 다른 방식(모터의 회전을 근사할 수 있는)의 해석 기법이 있는지 알고자합니다. 아니면 통상적으로 모터 블레이드 비산 해석은 정적 해석으로 다루는지 궁금합니다.
RPM변화에 따른 블레이드의 변형(displacement & stress)을 본다고 하면
NLTRAN(Nonlinear Transient) 또는 NLSTAT(Nonlinear Quasi-static)을 활용하여 RPM 변화를 적용하는 것도 적절한 해석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