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Mesh RBE2로 베어링 자리 구속 후 RecurDyn FFlex 응력 과대평가 이슈 문의
안녕하세요. 한국에서 HyperMesh와 RecurDyn을 사용 중인 학생입니다.
링크 구조물을 HyperMesh에서 메쉬한 뒤 RecurDyn(FFlex)로 불러와 동역학 해석에 따른 응력 분포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베어링 자리를 RBE2로 대체해 구속한 모델에서 응력이 비정상적으로 크게 나옵니다.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 소프트웨어/버전: HyperMesh , RecurDyn + FFlex
- 단위계: (예: N-mm-ton, °C)
- 재질: SS400 (E=200 GPa, ν=0.29, ρ=7.85e-9 ton/mm³, α=1.2e-5/°C 등)
- 베어링 자리 모델링(핵심)
- HyperMesh → 1D > rigids > RBE2
- calculate node로 홀 원주 노드들을 선택, 중심 노드(Independent) 생성
- DOF: 회전축(예: z)만 자유, 나머지 5자유도 구속
- RecurDyn 설정: Flexible body(FFlex)로 임포트, 조인트는 Rigid-Rigid 대신 RBE2 중심 노드에 Revolute 연결
- 하중/구동: (예: 입력 토크 30 N·m, 회전수 300 rpm, 구동 시간 0.5 s)
- 결과: 홀 가장자리에서 von Mises > 400 MPa로 과대 응력 발생(피크 위치/타임스텝 스크린샷 첨부)
질문
- 베어링을 **RBE2(중심점 스파이더)**로 대체하고 회전축만 개방하는 방식이 FFlex 응력 해석에 적절한 방법인가요?
- 만약 부적절하다면, 다른 일반적인 접근을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 RBE2가 피크 응력을 키운다면, 원주 노드 수/분배 방식/LLD(구속 DOF)를 어떻게 잡아야 과구속과 강성 증폭을 줄일 수 있을까요?